반응형

암기의 팁을 알려드립니다.

 

내가 생각하는 암기의 메커니즘은 인식하기와 살 붙이기, 그리고 암기한 내용을 떠올리는(기억해내는) 훈련

 

여기서 내가 말하는 인식하기란 어떤내용이 있구나 하고 생각을 하는 것이다

 

A와 B는 뭐가 공통점이고 뭐가 차이점이구나. 여기까지가 인식하기

 

 

 

 

그리고

암기를 수월하게 해주기 위한 살 붙이기 작업.

 

A와 B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이러이러해서 -> A는 여기에 응용하면 좋고, B는 저기에 응용하면 좋구나

 

살 붙이기 작업. 이런식으로 논리적으로 생각을 이어가는 것이 살 붙이기.

 

살 붙이기 작업은 시험에 가장 나올법한 직접적인 A와 B에 대한 내용은 아닐지라도 이렇게 이어나가다 보면

 

Base였던 A와 B에 대한 내용은 점점 명확해지고 확고 부동한 기억이 된다.

 

 

 

그 다음에

떠올리는(기억하는) 훈련

 

이후에는 너가 암기한 내용을 논리적 흐름에 따라 계속 기억해내려는 훈련을 하는거다. 눈을 감고 머리속으로 그려지면 OK

 

이 논리적 생각의 흐름을 반복하다 보면 나중에 A와 B라는 자극만 딱 주어지면 나머지는 연속적으로 기억이 남.

 

초반에는 이런 생각의 흐름을 그때 생각하고 넘어가지 말고 노트에 필기해두는 것도 도움이 됌. 이런식으로 하다보면

 

논리적 생각을 반복하게 되고, 점차 추론문제에도 똑같은 논리를 적용해서 설사 처음 보는 문제라도 동일한 논리적 흐름에 따라 

 

추론을 하고 문제를 풀 수 있게 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공부

을 통해 공부하는 방식을 연구합니다

,